공익할때 선물받은 256MB, 상당히 빠른편. 공용 컴퓨터에서 주웠던 삼성 1기가. 물론 삼성 OEM 이겠지만... 어디서 받은것 같은데 기억이... HP 2기가. USB CD ROM도 되고 활용도가 높지만 요새는 용량이 딸려서... 다음에 의견서를 냈더니 고맙다고 보내준 패키지에 있던 4기가... 쓰기 성능이 아주 느림. MicroSD를 USB Reader에 꽂아서 쓰는 형태의 USB 메모리 4기가. 나쁘지 않은 성능. 학교에 홍보온 하이닉스가 주고 간 8기가 지인여자친구 언니의 과거 남친 중 한 명이 주고 간 삼성 8기가 16기가 Mtro SSD를 USB HDD로 박아서 테스트. 구세대의 유물이라 그런지 USB 치고는 빠른데 그래도 느림. 메인으로 쓰고 있는 16기가 킹스톤. 이쁜데 느린데다 접촉 불..
아래 글은 Synology NAS 카페에 내가 쓴 글. 네이버 아이디를 바꾸면서 내 글이 아니게 되었네. 기록 차원에서 옮김. 제목이 거창합니다만, Synology 제품에 USB 무선랜 카드를 꽂았을 때 hotspot 기능이 동작하느냐 안하느냐에 관한 하드웨어 호환리스트입니다. Synology에서 호환 리스트를 제공합니다. 그렇지만 칩셋 정보를 알아 보기 위해서 하나하나 다 찾아 봤습니다. 무선랜 제품의 칩셋에 대한 정보는 구글링과 사이트 하나를 참고했습니다. 아주 좋은 사이트입니다. 정리하면, 보통 많이 쓰는 RT2870, RT3070과 드물지만 RT2770, RT3370, AR9271 칩이 가능합니다. 저는 안테나가 큰 제품이 필요한데 ipTIME이 4dB 제품군 등을 출시했더군요. 그래서 ipTIM..
PCIe는 본체 뚜껑을 열고 설치하는 매립형이다. 예전에 Dvico의 Fusion HDTV를 사용할때 느낀 바로는 USB형이 생각보다 불안정하고 드라이버가 인식됐다가 안됐다가 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반해서 PCIe형은 대역폭과 전력공급이 안정적이므로 생각보다 좋다. USB형은 노트북, 데스크탑 등등 어떤 컴퓨터에서도 설치 할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위에 말했던 문제가 있을 여지가 있다. 그렇다면, 전력 소모는 어떨까?? 이론상 USB의 스펙은 500mA에 5V이므로 2.5W의 전력만 끌어다 쓸 수 있다. 반면에 PCIe는 정확한 자료는 없지만 USB 보다는 높은 전력을 지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따라서 HDTV 카드에서 직접 사용하는 전력은 USB형이 작지 않을까?? 하지만 HDTV 카드 단에..
Usboffice에서 포터블로 만든 것 같다. 구글링 해보면 원래 프로그램의 용도는 나오고... Autorun Virus라는 것은 USB 메모리를 꽂으면 자동으로 뜨는 /탐색기로 파일보기/ /아무것도 하지 않기/ /그림 보기/ 등등의 몇 가지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작은 창에 출력되는데 그게 Autorun이다. 근데 이걸 살짝 바꿔서 가장 위에 /Windows 탐색기로 열기/ 항목처럼 생긴 아이콘을 클릭하면 그게 사실은 탐색기로 보면서 바이러스를 동시에 설치한다. 이게 오토런 바이러스인데, 최근에 여기저기 감염된 바이러스는 이상하게 백신 사이트와 마이크로 소프트 관련 사이트를 막아버린다. DNS를 바꿔버리는게 아닌가 싶은데 잘은 모르겠고, 루트킷인가 그거인거 같기도 한데... 걸리는 걸 막기 위해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