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간략하게 방법이 나와 있고, 참고해서 아래와 같이 만들어서 쓴다. #!/bin/bash # Variables export TODAY=`date "+%Y-%m-%d"` BAK_DESTI="/media/TOSHIBA_EXT/bak_RT-N56U" PAST_DAY="+60" # Delete old backup directories find $BAK_DESTI -mindepth 1 -mtime "$PAST_DAY" -type d -exec rm -rf {} \; # Create new backup directory /bin/mkdir -p ${BAK_DESTI}/$TODAY ################################# # Backup ##############################..
DNSEVER의 DDNS는 wget 명령어를 통해서 이뤄진다. crontab으로 반복적으로 실행될 쉘 스크립트를 만든다. 위치는 상관없다. /opt/home/admin/ddns.sh도 괜찮고 /etc/storage/ddns.sh도 괜찮다. 명령어는 #!/bin/sh wget --quiet --output-document=/opt/home/admin/ddns.txt --http-passwd=인증키 'http://dyna.dnsever.com/update.?host[도메인]' 로 하면 된다. 위는 기본 명령어고 아래는 /opt/home/admin/ddns.txt에 로그를 보겠다는 것이다. 사실 이 단계에서 로그는 크게 의미가 없긴 하다. 걍 ddns.sh를 실행해 보면 아이피가 업데이트 되는지 아닌지로 문제..
최근 많은 사용자들이 티스토리를 독립도메인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Dnsever를 사용하고 있다. 메인 IP를 네임호스트에서 분양 받아서 Dnsever에서 서브도메인을 할당하거나 웹포워딩으로 활용하면 긴 도메인을 줄이거나 할 수 있다. 여기서는 DS107+(이하 DS)에서 dyndns.org를 이용하거나 공유기에서 dyndns.org를 이용하지 않고 DS 자체에서 IP주소를 계속 업데이트하여 다이나믹 DNS를 유지시켜주고 그것을 도메인에 맞게 할당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먼저 나는 home.wiserain.net과 blog.wiserain.net의 두 개의 도메인을 DS에 뿌려줄 생각이다. Dnsever에 가서 다이나믹 DNS 메뉴에서 각각의 원하는 도메인을 추가하고 거기에 맞게 현재 서버의 IP를 넣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