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파일 : 700메가 동영상 파일 1개 테스트 환경 : iptime G304 아래 DGS-1005 기가비트 스위칭 허브 아래 107+와 메인 컴 MTU 9000 네트워크 폴더 공유 UP : 11.1 Mbyte/s DOWN : 24 Mbyte/s에서 시작하여 계속 떨어져 17 Mbyte/s 정도에서 수렴 FTP UP : 5~7 Mbyte/s 수준 DOWN : 30~35 Mbyte/s 에서 수렴, 수준 속도 변화가 꽤 심함 MTU 1500 네트워크 폴더 공유 UP : 9~10 에서 시작하여 15 Mbyte/s 에서 수렴 DOWN : 18 Mbyte/s FTP UP : 10 Mbyte/s DOWN : 10Mbyte/s MTU 7000 네트워크 폴더 공유 UP : 11에서 시작하여 19 Mbyte/s에서 ..
ZM-MFC2를 구매한 기념으로 107+의 전력 소모량을 측정해보았다. 스샷은 -_-; 디카가 없는 관계로 일단은 제껴제껴~ 107+은 1 bay로 물린 하드는 저전력형 Hitachi 500기가 하드 모델명은 HDP725050GLA360 이다. 30W : 초기 구동시에는 30W까지 육박한다. 아마 전력 충전이 되는 과정이라서 전력소모가 많이 되는 것 같고 이는 순간적으로 5초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13W : Idle상태의 전력 소모량이다. 14~15W : FTP를 이용하여 파일 복사의 경우 15~16W : 웹어플리케이션 File station을 이용하여 파일 복사의 경우 14~15W : 일반적인 웹페이지 탐색은 Idle 상태의 13W정도이고 제로보드 XE의 경우 컨텐츠가 많지 않은 페이지를 탐색할때 ..
최근 많은 사용자들이 티스토리를 독립도메인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Dnsever를 사용하고 있다. 메인 IP를 네임호스트에서 분양 받아서 Dnsever에서 서브도메인을 할당하거나 웹포워딩으로 활용하면 긴 도메인을 줄이거나 할 수 있다. 여기서는 DS107+(이하 DS)에서 dyndns.org를 이용하거나 공유기에서 dyndns.org를 이용하지 않고 DS 자체에서 IP주소를 계속 업데이트하여 다이나믹 DNS를 유지시켜주고 그것을 도메인에 맞게 할당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먼저 나는 home.wiserain.net과 blog.wiserain.net의 두 개의 도메인을 DS에 뿌려줄 생각이다. Dnsever에 가서 다이나믹 DNS 메뉴에서 각각의 원하는 도메인을 추가하고 거기에 맞게 현재 서버의 IP를 넣어준다..
지름을 참다가 결국 질러버렸다 -_-; 그냥 저렴한 (흠;; 저렴하지 않은가?) 리눅스 머신 혹은 APM 하나 구해서 가지고 논다는 생각하고 웹하드 공유도 될 겸 하나 질러버렸다. CPU가 느려서 엄두도 못내고 시도조차 못해봤던 텍스트 큐브를 설치해보려고 삽질하다가 성공한 방법대로 나의 기억력도 보충할겸 포스팅 해본다. 일단 작업 환경은 DS-107+ 와 640 펌웨어를 사용하였다. 준비할 것은 FTP Telnet/SSH WebStation / MySQL 위 세가지 항목을 관리 페이지에서 활성화 시켜준다. phpMyAdmin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를 받는다. all language에 utf-8 only를 다운 받고 적절한 압축 형태를 결정해서 다운로드 받도록 한다. tar.gz는 FTP로 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