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은 Synology NAS 카페에 내가 쓴 글. 네이버 아이디를 바꾸면서 내 글이 아니게 되었네. 기록 차원에서 옮김. 제목이 거창합니다만, Synology 제품에 USB 무선랜 카드를 꽂았을 때 hotspot 기능이 동작하느냐 안하느냐에 관한 하드웨어 호환리스트입니다. Synology에서 호환 리스트를 제공합니다. 그렇지만 칩셋 정보를 알아 보기 위해서 하나하나 다 찾아 봤습니다. 무선랜 제품의 칩셋에 대한 정보는 구글링과 사이트 하나를 참고했습니다. 아주 좋은 사이트입니다. 정리하면, 보통 많이 쓰는 RT2870, RT3070과 드물지만 RT2770, RT3370, AR9271 칩이 가능합니다. 저는 안테나가 큰 제품이 필요한데 ipTIME이 4dB 제품군 등을 출시했더군요. 그래서 ipTIM..
원래 게시되어 있던 글을 조금 수정했습니다. 기존의 리뷰는 초기에 구매해서 사용기부터 쓴다는 마음으로 대충 써서 갈겼더니 의도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게 되어서 죄송하게 생각하며 오해가 없게 다시 글을 고칩니다. 개봉기 + 외관 WAN to LAN 를 해보고 싶지만... 이미 100Mbps 단순 업/다운정도는 공유기에서 빵빵하게 지원한지 오래 되었고, 그 보다 Qos나 VPN 같은 다양한 기능을 켰을 때의 속도 저하 현상에 사용자들은 더 관심이 있겠지만 귀차니즘으로 패스..-_-; DS-107+와 내부속도 테스트 내가 가지고 있는 NAS와 Main desktop간의 속도 체크를 해 보았다. 둘다 1Gbps로 문제 없이 링크 되었음을 확인 하였고 점보 프레임은 지원하지 않는 관계로 MTU 1500이다. 네트..
모델명은 N3004 ipTime은 허브고 공유기고간에 3자리는 100M 기반 4자리 숫자는 1G 기반을 의미한다. 그렇게 기다리고 기다리던 ( 참고 ) 기가비트 공유기가 출시 되었다. 기존에 연구실에서 빌려다 쓰는 G304와 그 아래 물린 DGS-1005 D-Link 기가비트 허브의 조합으로 사용중이었는데 이제는 청산할 때가 된 것 같다. 다만 N시리즈는 이전에 주력으로 밀던 ipTime의 X305나 NX505 보다 확실히 CPU가 딸린다. 현재 N3004는 266Mhz인데 NX나 X의 X 시리즈는 533으로 두 배의 산술적 속도 차이다. 아마 안정적인 Full duplex가 가능해서 내부 전송속도가 높을 터인데 대신 포트는 100Mbps. 혹시나 나중에라도 기가비트에서 더 고급형으로 NX5005 뭐 이..
국내 공유기 제조사의 양대 산맥 EFMnetworks와 ALtech. 두 회사의 제품은 각각 iptime과 anygate의 브랜드로 시중에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두 회사 모두 선풍적인 회원 가입을 유치했던 mylg070의 AP를 만들어서 OEM으로 납품한 회사이기도 하다. 그 중에서 EFMnetworks는 좀 더 좋은 성능의 제품을 출시하기로 유명하다. 최근 기가급 데이터와 기가비트 랜카드의 보급, 그리고 여러대의 PC를 가진 가정이 늘어나면서 각 PC간의 자료이동의 속도를 위해 기가비트 환경을 구축하려는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중이다. 물론 인터넷 회선은 여전히 100Mbps 환경이지만 내부의 네트웍에서 이동하는 자료는 빠르면 빠를 수록 좋다. 이런 환경에서 두 회사의 제품 라인을 살펴보면 최근 A..